컴퓨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 - 스케일업(scale up)과 스케일 아웃(scale out)
컴퓨터의 성능을 높이고 싶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가장 일반적으로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1) 컴퓨터를 바꾼다 좋은걸로
(2) 램을 더 큰거로 바꾼다던지 CPU를 좋은거로 바꾼다던지 한다.
이정도가 되지 않을까 한다.
이거는 참고로 내가 기술 면접에서 받았던 질문인데, 정말정말 단순하지만 막상 질문받으면 멍~해지는 질문이었다. 어영부영 (그리고 이때는 약간 분산처리에 꽃혀있어서,, 왜인진 모를) 컴퓨터 자원을 늘리면 된다.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여러개 두면 된다~ 이런 식으로 대답했다.
결론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지만, 스케일업과 스케일아웃 두 가지 동시에 언급해주는 것이 좋았을 거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래서 쓰는 글!!!
1. 스케일 아웃 (Scale Out)
스케일아웃이란 컴퓨터를 여러대 추가하여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처리해야할 동작이 100개가 있는데 그동안은 1대의 컴퓨터가 처리했다면 1대 더 추가해서 각각 50개씩만 하면 시간이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론상) 서버가 여러대가 되기 때문에 각 서버에 걸리는 부하를 균등하게 해주는 '로드밸런싱'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스케일아웃의 경우 컴퓨터 한대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컴퓨터가 있어서 서비스 제공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반면 두개의 컴퓨터가 같은 정보임을 보장해줘야하기 때문에 그것도 고민을 해서 프로그램을 설계해야한다.
2. 스케일업 (Scale Up)
'스케일업'은 컴퓨터에 CPU나 RAM을 추가하거나 고성능의 부품으로 교환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어떤 cpu칩이 1초에 1개 처리하는건데 그 cpu칩을 1초에 10개 처리하는 것으로 바꾸면 성능이 10배가 좋아지는 것이다.
스케일업의 경우 모든 처리가 서버 한대에 집중되기 때문에 데이터 갱신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적합한 방식이다.
'Computer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das Basic (0) | 2020.07.01 |
---|---|
[Azure Certi] AZ-900 Certi 준비 (10) - Azure 비용 예상 및 지출 최적화 (0) | 2020.05.27 |
OSI 참조모델에 대하여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0) | 2020.05.09 |
[정보처리기사 2020 필기 요약] 운영체제의 개념 (0) | 2020.04.07 |
requests와 BeautifulSoup을 이용해서 웹 크롤링하기 (0) | 2020.01.0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Pandas Basic
Pandas Basic
2020.07.01 -
[Azure Certi] AZ-900 Certi 준비 (10) - Azure 비용 예상 및 지출 최적화
[Azure Certi] AZ-900 Certi 준비 (10) - Azure 비용 예상 및 지출 최적화
2020.05.27 -
OSI 참조모델에 대하여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참조모델에 대하여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2020.05.09 -
[정보처리기사 2020 필기 요약] 운영체제의 개념
[정보처리기사 2020 필기 요약] 운영체제의 개념
2020.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