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NIC; 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정보 전송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잇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이더넷 카드(LAN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 허브(Hub) 허브는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한다. 허브의 종류에는 더미허브, 스위칭 허브가 있다. 더미허브(Dummy Hub)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을 제공한다.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 나누어 제공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물리적인 성형 구조로 연..
라우팅이란 (정적 경로 설정과 동적 경로 설정, IGP와 EGP, Distance Vector와 Link State에 관해서)
2019.06.10
라우팅(Routing)이란 Internetwork를 통하여 근원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수많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라우터가 packet을 목적지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려면 라우터는 해당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며, 이 정보에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따라서 라우터들은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이웃의 라우터들과 정보를 교환하는데, 이때 라우터들끼리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을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라우팅에는 Network Admin 이 라우터마다 최적의 경로를 인위적으로 등록하는 정적 경로(Static Routing)와 자동적인 라우팅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의 경로를 판단하는 동적 경로(..
이더넷 프레임이란? - LAN의 2계층은 이더넷이라는 규칙이 적용됨 - 이더넷이 사용되는 주소 => MAC 주소 - 이더넷에서는 '이더넷 헤더'와 '이더넷 트레일러'를 데이터그램에 붙여서 '이더넷 프레임'으로 캡슐화를 함. 타입 : 페이로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3계층 PDU)의 종류를 특정하는 값 (IP 데이터그램이라면 16진수로 0800이 들어간다.) 페이로드 :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에 의해 캡슐화되는 3계층 PDU (전송되는 데이터) FCS : 에러 체크용 비트열 이더넷의 동작 - 허브에 의해 모든 기기에 도달한 프레임은 수신처 MAC 주소를 가진 기기 이외에는 파기함. - 동작 예시 ① 송신 컴퓨터가 유니캐스트로 프레임을 송신하면 모든 기기에 도달한다. ② 수신한 프레임의 수신처 MAC 주소가 자..
데이터 전송 방법 1. 유니캐스트 (Unicast) : 1대 1 데이터 통신 - 가장 일반적 2.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 1대 전체 - 전윈, 모두에게 보내는 데이터 통신 (세그먼트 내 모든 기기) 3. 멀티캐스트 (Multicast) : 1대 다수 - 지정된 복수의 기기로 메세지를 보내는 데이터 통신 Mac 주소 각각의 기기는 유니캐스트 주소를 적어도 한 개 가지고 있음 - 라우터처럼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기기는 인터페이스마다 유니캐스트 주소를 갖는다. - 유니캐스트의 주소는 유일해야 함 (같은 것이 없어야 함) - 반면, 멀티캐스트 주소는 같은 주소를 가진 기기가 여러 개 있어도 된다. => 멀티 캐스트 주소는 ‘그룹 번호’를 의미함 그래서 MAC 주소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