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I/O 2021 키노트를 듣고 몇가지 흥미로운 것들
https://events.google.com/io/?lng=ko
Google I/O 2021
Google I/O returns virtually and live May 18-20.
events.google.com
구글 아이오가 시작되었습니당. 구글은 매년 IO를 5월에 열고 있는데요, 그동안은 오프라인 이벤트로 캘리포니아에 직접 가서 즐길 수 있었다면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올해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온라인이라 그런지 다른 분들 말로는 별로 설렘이 없다(...) 별로 크게 기대가 되지 않는다(....)고 하시긴 했지만 저는 처음으로 IO를 듣는거라 괜히 설레더라구여 ㅎㅁㅎ
저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다양한 분야의 세션들이 많이 있습니다. 머신러닝, 안드로이드, 웹, 파이어베이스, 플러터 등등 구글의 다양한 기술들에 관한 내용들이 있어요. 관심있는 부분을 찾아보시면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GDG Seoul의 viewing party에 참가해서 다른 분들과 채팅하며 같이 봤는데요 ㅋㅋㅋ 혼자 보는것보다 같이 보니 훨씬 재미있었습니다. 친구랑 같이 들어가서 보는데 사람들 반응도 재밌고... 저두 채팅 치다가... 덕분에 그나마 자지 않고 조금이라도 들었던 것 같아요 ㅋㅋㅋㅋ
키노트를 한장으로 요약한 사진입니다. 키노트는 한번 다들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것들 몇가지만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1. LaMDA
LaMDA: our breakthrough conversation technology
LaMDA adds pieces to one of the most tantalizing sections of the language puzzle: conversation.
blog.google
람다! 중년 남성 보이스의 자연어 모델입니다. 문장 그 의미 뿐만 아니라 문맥과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대답을 해주더라구요. 매우 흥미로웠던 언어 모델입니다. 엄청나게 자연스러운 대화를 보여주었는데, 빨리 구글홈에서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ㅁ+
2. Stmart Canvas
Smart canvas delivers the next evolution of collaboration for Google Workspace | Google Cloud Blog
Learn more about how Google Workspace is fueling anywhere, anytime collaboration with its new smart canvas product experience.
cloud.google.com
구글 독스 + meet + 노션을 합친 것 같은 협업(?) 툴입니다. 엔터프라이즈용으로 먼저 서비스를 시작하고 점차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데, 빨리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좋겠네요.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도 뛰어나고.. 점점 노션과 워드를 사용하는 이유가 사라지는건 아닐까...
3. MUM
https://blog.google/products/search/introducing-mum/
MUM: A new AI milestone for understanding information
Our latest AI milestone, Multitask Unified Model, has the potential to take Google’s information understanding to a new level.
blog.google
엄청난 검색엔진...! 보면서 제일 놀라웠던 AI 검색엔진 모델입니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까지 이해하는 멀티모달 모델로,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데이터 생성까지 가능하게 해준다고 합니다. 위의 LaMDA와 함께 결합해서 단순한 검색어에서 문맥과 의도를 파악해 최적의 검색결과를 노출시킬 수 있게 해주겠다고 합니다. 현재는 이미지와 텍스트까지만 학습된 모델이지만 추후에는 오디오와 비디오까지 함께한다고 하니 앞으로의 확장성이 기대되네요 .
키노트 듣다가 중간에 자버려서.... 어느 순간 깨보니 배 위에 노트북을 올려놓고 그대로 자고 있더라구여 ㅋㅋㅋㅋ 그래서 결국 저도 끄고 다시 잤습니다. 그래서 못본 부분을 다시 봤는데, 뒤의 내용은 안드로이드 머테리얼 디자인 관련이 많아서 일단 생략했네요 ㅋㅋㅋㅋㅋ
구글의 기술력은 날이 갈수록 점점 거대해지고 무서워지는 것 같아요... 빠르게 트렌드에 맞춰서 저두 발전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ㅁ+
'IT Tren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nsorflow Lite에서 Delegate란? - GPU Delegate (0) | 2021.06.02 |
---|---|
Bazel이란? (0) | 2021.05.24 |
요즘 제일 힙한 프로그래밍 언어, Rust (0) | 2021.04.26 |
완전 편한 Data Science용 Python 웹 프레임워크, Streamlit (2) | 2021.04.09 |
RISC-V에 대한 나만의 생각 (0) | 2021.02.05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Tensorflow Lite에서 Delegate란? - GPU Delegate
Tensorflow Lite에서 Delegate란? - GPU Delegate
2021.06.02 -
Bazel이란?
Bazel이란?
2021.05.24 -
요즘 제일 힙한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요즘 제일 힙한 프로그래밍 언어, Rust
2021.04.26 -
완전 편한 Data Science용 Python 웹 프레임워크, Streamlit
완전 편한 Data Science용 Python 웹 프레임워크, Streamlit
202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