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는 어떻게 파일들을 관리하는지 한번 알아보자.윈도우와 달라서 재미있는 부분들이 많다. 시작하기에 앞서..먼저, 파일이란?리눅스에서 파일이란 디스크에 저장되는 자료들의 모음을 뜻한다.파일 이름을 사용하여 자료들을 간편하게 다룬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특징 - 계층적 파일 시스템리눅스는 파일을 계층적으로 관리한다.부모 디렉토리에서 자식 디렉토리.. 그 자식 디렉토리의 또 자식 디렉토리.. (이런 느낌) 여기서 디렉토리(directory)란 포함하고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과 관련 정보를 보관하는 것이다. 폴더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리눅스는 파일 시스템 계층구조 표준(FHS)를 기반으로 하고있다. 위 사진을 보면 가장 꼭대기에 루트(root) 디렉토리(/)가 있다. 할머니..
명령어 기본 실행리눅스에서 명령어 형태는 어떻게 될까? 기본 형식은 아래 네모박스와 같다. command(실행결과출력) ... 첫 번째 출은 명령어 이름을 우리가 입력하는 것이다.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은 앞으로 차츰차츰 배울 것이다.두 번째 줄은 우리가 입력한 명령어의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다. 실행 결과를 출력해주면 우리가 또 입력하고, 출력하면 입력하고.. 사람이 대화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거의 대부분의 명령어들은 입력할 때 option과 argument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command [-options] [argument] option - 명령어의 세부 동작 지정 (대게 -로 시작함)argument -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정보 제공 처음..
운영체제와 컴퓨터 시스템Linux/UNIX는 많은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특히 리눅스는 거의 전 범위의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해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부터 고성능 슈퍼 컴퓨터까지 그 분야는 다양하다. 유닉스와 리눅스 1. 유닉스 (UNIX) 유닉스(UNIX)는 미국 Bell 연구소에서 Ken Thompsion이 1969년에 개발했다. 유닉스 이전에는 MULTICS라고 복잡하고 느린 성능의 운영체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빠르고, 작고,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운영체제를 목표로 개발한 것이다. 예전에는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하였으나 Dennis Ritchie가 C언어를 개발한 후에 C언어로 다시 작성하였다. C언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이식성이 좋고 기능 확장 및 개선이 용이한 점이 강점이다. 유닉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