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구글에서 나온 새로운 멀티모달 AI가 굉장히 화제이다. (이름이 무려 잼미니!!!) 아래 영상으로 되게 핫해졌는데 (9일전 영상이 무려 2백만회!!) 영상을 보면 되게 신기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UIZAiXYceBI&ab_channel=Google 그 이후에 바로 설명하는 블로그가 올라왔다. https://blog.google/technology/ai/google-gemini-ai/?utm_source=tldrai#sundar-note Introducing Gemini: our largest and most capable AI model Gemini is our most capable and general model, built to be multimoda..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하며 계속 등장하는 개념인 delegate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충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는... 뭔가 썸띵.. 머신러닝 모델을 gpu에서 돌릴 수 있게 하는 cuda 같은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는데(??) 이런 저런 내용을 조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TFLite Delegate란? Delegate는 '대리자'라는 뜻으로, TFLite Delegate는 그래프 실행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다른 executor에 위임하는 방식입니다. 그래프 실행을 여기 말고 저기서 할 수 있도록 하는 친구들이라는 것이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모델을 돌릴 때, 컴퓨팅이 많은 머신러닝 모델에 대한 추론을 실행하는 것은 컴퓨팅파워 및 제한된 전력으로 인해 리소스가 많이 필요합니..
최근은 아니지만.. 최근인가? 최근에 TFLite를 안드로이드에서 실행해야하는 상황이 생겼는데요, 그때 사용해야하는 툴 중에서 이 Bazel이라는 것을 알게되어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빌드 도구라고 함은 짧은 모바일/백엔드 지식으로.. gradle과 maven밖에 몰랐는데 이런 것도 있다니 신기하네요 ㅎㅁㅎ; 아직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실행해보지는 않았지만 환경 셋팅만 해도 매우 헉헉대서 ㅋㅋㅋㅋㅠㅠ 중간 정리하는 겸사겸사 글을 작성합니다. Bazel이란? https://docs.bazel.build/versions/master/bazel-overview.html Bazel Overview Bazel Overview Bazel is an open-source build and test tool ..
https://events.google.com/io/?lng=ko Google I/O 2021 Google I/O returns virtually and live May 18-20. events.google.com 구글 아이오가 시작되었습니당. 구글은 매년 IO를 5월에 열고 있는데요, 그동안은 오프라인 이벤트로 캘리포니아에 직접 가서 즐길 수 있었다면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올해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온라인이라 그런지 다른 분들 말로는 별로 설렘이 없다(...) 별로 크게 기대가 되지 않는다(....)고 하시긴 했지만 저는 처음으로 IO를 듣는거라 괜히 설레더라구여 ㅎㅁㅎ 저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다양한 분야의 세션들이 많이 있습니다. 머신러닝, 안드로이드, 웹, 파이어베이스, 플러터 등등 구글의 다..
www.rust-lang.org/ Rust Programming Language A language empowering everyone to build reliable and efficient software. www.rust-lang.org 모질라 리서치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Rust! Go 이후로 가장 핫한 언어가 아닐까 하는데... 러스트 왈 "안전하고, 병렬적이며, 실용적인" 언어로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버전이 1.51인데, 2010년 7월 처음 발표되었었다고 합니다. Go보다는 반년 늦게 나왔지만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두 언어를 라이벌로 묶기도 하죠... 러스트는 C, C++, Go와 같은 컴파일 기반의 언어입니다. 시스템 프로그래밍까지 가능한 언어라 활용 범위가 엄청날 것..
streamlit.io/ Streamlit • The fastest way to build and share data apps Streamlit is an open-source app framework for Machine Learning and Data Science teams. Create beautiful data apps in hours, not weeks. All in pure Python. All for free. streamlit.io Streamlit가 뭐지? Django같은 파이썬의 웹 프레임워크로, Data Science에 특화된 프레임워크입니다. 공식 문서의 타이틀이 "The fastest way to build and share data apps" 인데, 말 그대로 엄청나게 빠르게 ..
제가 학부때 제일 좋아했던 수업은 김종현 교수님의 컴퓨터구조론이었습니다. 은퇴가 얼마 남지 않으셨는데도 꾸준하게 새로운 기술에 관심을 갖는 교수님의 모습이 멋있어(!!) 보였고, 나도 저렇게 많이 알고싶다.. 라고 많이 생각했던 것 같아요. 그때 수업을 들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이 있다면 Why RISC? 라는 주제였습니다. 교수님은 당신이 박사생활때 저 논의가 처음 등장했다고 하셨는데,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복잡한 명령어 집합을 갖는 CPU 아키텍처)의 시대에서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단순한 명령어 집합을 갖는 cpu 아키텍처)로 변하는 시대에 있던 장본인이셨던 겁니다. RISC 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
www.mk.co.kr/news/world/view/2020/12/1301393/ "MS, 자체 서버용 프로세서 개발 중"…인텔 칩 대체 움직임 블룸버그 보도…애플과 같은 행보·인텔 주가 6.3% ↓ www.mk.co.kr (오랜만에 돌아오는 IT 트렌드 글...) 세계 IT 기업들의 움직임이 예사롭지 않다. 그와 동시에 인텔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는 것 같다.. 애플이 올해 처음으로 M1 프로세서를 선보인 이후 아마존과 MS 모두 자체 개발 프로세서를 만들것이라고 선포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rm 설계를 채택해 데이터센터에 사용할 프로세서를 생산하고 있다고 한다. ARM 기반 칩이 서피스 디바이스보다 애저용 서버에 우선순위를 놓고 개발되고 있다고 있긴 하지만, 를 향후 출시할 일부 서피스 라인업에 적용도..
(조금 웃기지만,,, 터키에 있는 DSC Lead와 함께 했던 카드뉴스 콜라보 프로젝트..!!!) 구글의 양자컴퓨터가 뜨거운 감자다. 나는 현재 구글 DSC(Developers Student Club) Lead로 활동하고 있는데, 엄청 대단한 기업인지는 알고있었다만 이런 것 까지 연구하고 있을줄은 몰랐다.. 일단 내가 활동하고 있는 곳이긴 하지만 알면 알수록 무서운 곳이다 구글 양자컴퓨터는 전통적인 슈퍼컴퓨터로 1만년 걸리던 연산을 단 200초만에 풀 수 있는 양자컴퓨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자신들이 개발한 54비트 큐비트 시커모어 프로세서가 그 핵심인데, 구글은 이 논문을 통해서 자신들이 양자 컴퓨터에서 우위를 달성했다고 한다. 아래는 그 영상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
2013년에 등장한 도커는 인프라 세계를 컨테이너 세상으로 바꾸어버렸다. 수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컨테이너로 배포되고 도커 파일을 만들어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를 배포하는게 흔한 개발 프로세스가 되었다. 이렇게 뜨거운 감자인 Docker, 도커란 무엇일까? 배경 종종(이아니라 대부분)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OS, 미들웨어 등 인프라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개발 환경과 테스트 환경에서는 잘 동작하다가 제품 환경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고객사의 인프라, 보안 환경, 각종 OS나 미들웨어의 버전 등이 원인이 다양할 수 있어 원인을 찾기가 쉽지가 않다. 도커의 등장 여기에서 등장하게 되는 도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환경을 이미지로 만들고 해당 이미지를 활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실..
이제는 AI도 플랫폼으로 나오는 시대! Dialogflow(구 API.ai)란? 자연어 처리와 rich한 UI/UX를 제공하는 플랫폼 Dialogflow는 구글에서 개발한 머신러닝 기반의 자연어 처리 플랫폼이다. Dialogflow가 제공하는 매력적인 음성 및 텍스트 기반 대화식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모든 '대화'가 이루어 지는 곳에서 dialogflow를 사용할 수 있다. Dialogflow는 google 인프라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수백만명의 사용자로 확장할 수 있다. (!) Dialogflow로 만든 음성 및 대화식 인터페이스는 전화기, 웨어러블, 자동차, 스피커 및 기타 스마트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와 함께 작동한다. Dialog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