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events.google.com/io/?lng=ko Google I/O 2021 Google I/O returns virtually and live May 18-20. events.google.com 구글 아이오가 시작되었습니당. 구글은 매년 IO를 5월에 열고 있는데요, 그동안은 오프라인 이벤트로 캘리포니아에 직접 가서 즐길 수 있었다면 코로나 사태로 인해 올해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온라인이라 그런지 다른 분들 말로는 별로 설렘이 없다(...) 별로 크게 기대가 되지 않는다(....)고 하시긴 했지만 저는 처음으로 IO를 듣는거라 괜히 설레더라구여 ㅎㅁㅎ 저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다양한 분야의 세션들이 많이 있습니다. 머신러닝, 안드로이드, 웹, 파이어베이스, 플러터 등등 구글의 다..
나의 첫 발표..!! 모교(??) 모커뮤니티(??)에서 발표를 했습니다~~~ 와앙~~ 저는 2019년에 DSC 1기 리드를 했었는데, 지금 2기 리드인 후배가 잠시 발표해줄 수 있냐고 해서 저의 취준썰과 취업썰(??)을 소개했습니다. 조금 제한된 시간 안에 해서.... 제대로 말이 전달된건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저의 첫 발표여서 굉장히 두근거렸던 것 같슴니다 ㅎㅁㅎ;; 작은 발표였지만.... 소듕한 경험.... 아래는 제 발표자료인데 ㅋㅋㅋㅋㅋㅋ 조금 웃기게 발표하고 싶었는데 1도 재미가 없어서 슬폈네유 ^_ㅠ.. 근데 참 저도 다른 사람들의 취업썰을 들었을때도 그렇고... 제가 말할때도 그렇고 참 이게 참.... 뭐라 형용하기 어려운 그런게 있는 것 같아요. 얼렁뚱땅 취업했당~ 이렇게 말한거같기도 하고..
이 책은.. 이 책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프로듀서 스즈키 도시오가 여러 지브리 감독과 스태프들과 함깨 일을 하면서 겪은 에피소드들을 하나하나 설명해주고 있다. "지브리의 천재들"이라는 제목에 맞게 지브리를 대표하는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와 타카히타 아사오에 대한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스튜디오 지브리의 역사를 줄줄 설명하는데, 그것을 소설같이 읽기 좋게 풀어서 썼다. 사실 이 책의 제목을 처음 접했을 때에는 지브리의 성공 방식이나 경영 철학 등을 담은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아니었다. 하나하나의 작품들이 나오면서 작가의 감정이라던지 생각 같은 것들이 잘 드러나있어서 책을 정말 다른 사람의 일기장 읽듯이 읽을 수 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읽기 편한" 책이었다. 지브리가 만든 문화 책을 읽다보..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종종 나오는 투포인터 알고리즘! 막 꼬여가지고 ㅋㅋㅋ 저도 중간에 제대로 못짜고 그러는 경우가 많은데요, 많은 코딩테스트 문제에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잊을만하면 종종 등장하는 투포인터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봅시다! 투포인터 (Two Pointers)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 두 개의 점의 위치를 기록하면서 처리하는 알고리즘 정렬되어있는 두 리스트의 합집합에도 사용됨. 병합정렬(merge sort)의 counquer 영역의 기초가 되기도 합니다. 예제 문제 - 특정한 합을 가지는 부분 연속 수열 찾기 투포인터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문제입니다. 어떤 숫자들의 리스트가 주어질 때, 해당 리스트의 연속 수열의 합이 특정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는 문제입니다. 시작점과 끝점이 첫..
www.rust-lang.org/ Rust Programming Language A language empowering everyone to build reliable and efficient software. www.rust-lang.org 모질라 리서치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Rust! Go 이후로 가장 핫한 언어가 아닐까 하는데... 러스트 왈 "안전하고, 병렬적이며, 실용적인" 언어로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버전이 1.51인데, 2010년 7월 처음 발표되었었다고 합니다. Go보다는 반년 늦게 나왔지만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두 언어를 라이벌로 묶기도 하죠... 러스트는 C, C++, Go와 같은 컴파일 기반의 언어입니다. 시스템 프로그래밍까지 가능한 언어라 활용 범위가 엄청날 것..
제가 요즘 트위터를 하고 있는데요 ㅎㅁㅎ 친구가 어쩌구 저쩌구 행사했는데 저를 태그하고싶다고 해서 타의100%으로 트위터 계정을 만들었습니다 (오예~~) 잘 몰랐는데, 그냥 아무말 한마디씩 던지기 괜찮은 것 같아요 ㅋㅋㅋ 트위터 자체가 혼잣말하기 최적화되어있는 SNS다보니 딱 한마디씩 던지기 좋은 것 같습니다. 제가 덕질을 하던.. 뭔가를 하던 그러면 더 좋을거같긴 한데 말이죠 트위터는 그냥 북마크같이 기술관련 글들이나.. 제 일상 올리기도 하고 그럽니다. ㅎㅂㅎ 놀러오세요~~~ Follow @JiyeonL91200402 Tweets by JiyeonL91200402
시작하기에 앞서.. 그래프의 표현 방법 그래프는 표현하는 방법을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인접 행렬, 다른 하나는 인접 리스트입니다. 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INF = float('inf') graph = [ [0, 7, 5], [7, 0, INF], [5, INF, 0] ] 2.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딕셔너리나 collections에 있는 defaultdict를 사용합니다. 둘이 똑같이 키-값의 구조라서 빠른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것 같습니다ㅎㅎ 아래는 defaultdict를 사용한 방법입니다. gra..
[Pythonic한 코드 작성하기] 파이썬의 자식 프로세스 관리 모듈, subprocess
2021.04.21
파이썬에서는 자식 프로세스 실행과 관리용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명령줄 유틸리티 같은 도구들을 연계하는데 아주 좋은 언어입니다. 기존 셸 스크립트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복잡해지면 파이썬 코드로 재작성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확보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파이썬으로 시작한 자식 프로세스는 병렬로 실행할 수 있어, CPU코어를 모두 이용해 프로그램의 처리량을 극대화할수도 있습니다. 파이썬 자체는 CPU속도에 의존할 수도 있지만, 파이썬을 사용하면 CPU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을 관리하고 조절하기가 쉽습니다. 수년간 파이썬에서는 popen, popen2, os.exec*를 비롯하여 서브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법이 여러개 있어왔다. 최근(...이라고 하기도 좀 그렇지만) 파이썬에서 자식 프로..
원문 링크 : 핵심 키워드 1. R-CNN 시리즈들의 서막 2. Regrional Proposal, Selective Search 3. Non-Maximum Suppression 4. Bounding Box Regression R-CNN 모델의 흐름 위 그림과 같이 (1)이미지를 입력하고 (2) 영역을 추출하고 (3) CNN연산을 한 후 (4)분류한다. R-CNN R-CNN이 Object Detection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입력 이미지에 selective search를 적용하여 물체가 있을만한 박스 2천개(2K)를 추출한다. 모든 박스를 227x227로 resize. 박스의 비율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imagenet으로 학습시켜놓은 CNN을 통과시켜 4096차원의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벡터를..
한줄 후기 : 인맥의 중요성 (??) 이 책에서 말하는 다섯가지 성공 공식 성과는 성공의 원동력이지만, 성과를 척정할 수 없을 때는 연결망이 성공의 원동력이다. 성과를 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성공은 무한하다. 과거의 성공 X 적합성 = 미래의 성공 팀이 성공하려면 다양성과 균형이 필요하지만, 팀이 성과를 올리면 오직 한 사람만이 공을 독차지한다. 부단히 노력하면 성공은 언제든 찾아올 가능성이 있다. 또, 성공?? 꿈꾸는 다락방, 시크릿, 그릿 등등... 성공에 관한 책은 정말 무수히 많다.신기하게도 이 책들은 사례로 드는 '성공한' 인물은 다 비슷하지만 초점을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어떤 책들은 꿈을 얼마나 생생하게 그리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고, 어떤 책들은 얼마나 고통을 잘 견뎌..
저는 Geeknews라고, 개발 관련 뉴스들을 묶어 매주 이메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애용하고 있는데요, 이번 내용에 조금 흥미로웠던 것이 있어서 가져와봅니당 ㅎㅎ 원문 링크 news.hada.io/topic?id=4014&utm_source=weekly&utm_medium=email&utm_campaign=202115 150줄의 파이썬 코드로 Full-Text 검색엔진 만들기 | GeekNews 영어 위키피디아 제목+요약 전체 데이터를 가지고, 특별한 기술이 아닌 검색엔진의 기초를 차근차근 설명한 글1. Abstract 개체를 만들어서 데이터 준비2. Index 생성 : Token화 및 필터링ㅤ→ 소문자 news.hada.io bart.degoe.de/building-a-full-text-search-e..
트라이란? 문자열을 효과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자료구조로, 문자열을 순차탐색하는 방식이 아닌 트리로 접근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입니다. 주로 Prefix Tree, digital search Tre, retrieval tree라고도 불리는데, retrieval tree의 trie를 따와 트라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립니다. 트라이는 문자열을 key로 사용하는 동적은 set 또는 연관배열을 저장하는 트리의 확장된 구조입니다. 문자열을 탐색할 때 단순하게 하나씩 비교하지 않고 key로 노드들을 탐색해나가기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빠르게 탐색 가능하지만 각 노드에서 자식들에 대한 포인터들을 배열로 모두 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저장 공간의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아..